작명

孫旻廷

거북이3 2009. 11. 28. 15:15

※작명 (손창수 씨 딸; 孫旻廷)                                          '09. 11. 27.

                  17획(外格 ; 배우자운…勇進格, 迫力遂行, 大業成就)                                 

                                                                                      

                                                                                              

                      孫                               

           10획                       8획                                7획

               (움돋을 손)              (가을하늘 민)                      (조정 정)

                [새싹]                                                           [공정하다]

                                      

                          18획                      15획

(人格;사회운…發展格, 意志堅固, 富貴榮達)   (名格;초년운…統率格, 自立成功, 衆人仰視)

                        

                                                              

                                                     총25획

                   (總格 ; 중년 이후, 全 생애 … 健暢格, 大業達成, 安康多福)


인격(人格), 명격(名格),  외격(外格), 총격(總格)이 다 좋다. 굳센 의지로 열심히 노력하여 자립성공하여 모든 사람들이 우러러보며 부귀와 安康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운세를 누릴 수 있겠다.


☆ 이름자 세 글자가 모두 유성음(ㄴ과 ㅇ)의 맑은 음으로 끝나서 부르기 좋고 듣기에도 좋은 글자이다.


☆ ‘孫旻廷’ 전체의 뜻은, 가을하늘과 같이 백성을 사랑하는 어지신 임금의 마음 (旻天之心)을 지닌 임금이 거처하는 조정, 또는 그처럼 공정함이 새록새록 움돋는다는 뜻이니, 모든 사람들이 다들 좋아하는 사람으로 자랄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 字形을 보면, 孫자는 좌우로 합쳐진 글자이긴 하지만, 시각적으로 보아 그다지 뚱뚱한 모습은 아닌 것 같고, 廷자 역시 좌우로 합쳐진 글자처럼 보이지만 민책받침(廴)은 그 오른쪽의 壬자의 어깨를 감싸고 있는 모양이라서 볼륨감보다는 화목함을 드러내는 느낌이 강하고, 어쨌든 그 두 글자를 보완하는 의미에서 위아래로 결합된 旻자를 씀으로써 약간 토실토실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보아 홀쭉한 모습으로 자라지 않을까 생각된다.


☆ 획수를 보면, 성과 이름자가 10획, 8획, 7획이고, 인격, 명격, 외격과 총격이 각각 18, 15, 17, 25로서 양수(홀수)가 7, 15, 17, 25, 음수(짝수)가 10, 8, 18)이 되어 음양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어 조화로움을 보인다.


☆3元 5行의 경우를 보면,

   1     +    10  =   11 →   1

(先天數)      (姓)            [木]

     木金土로서

 10   +      8   =   18 →   8           

                      (人格)  [金]

 8     +     7   =   15 →   5   

                      (名格)  [土]

    

순행의 방향에서는 직접적으로 상생이나 상극의 문제가 없다. 역행의 방향에서 보아도, 金剋木과 土生金의 상극, 상생이 함께 있어 서로 상쇄가 되는 실정이다.


☆ 음령오행(音靈五行)으로 볼 때,

구분

주음

종음

관계

비고

ㅅ(齒音;金)

ㄴ(舌音;火)

火克金(역방향)

-

ㅁ(脣音;水)

ㄴ(舌音;火)

水剋火(순방향)

-

ㅈ(齒音;金)

ㅇ(아音;木)

金剋木(순방향)

-

관계

金生水(순방향,역방향)

2회

목생화(역행)

2회

 

 

 

 + +

 + +

 

 


☆참고: 이름이니 사주니 하는 것은 그 접근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유명한 작명가에게 지은 이름을 시간이 좀 흐른 후 그 작명가에게 다시 가서 물어보면 개명하라고 한다지요. 따라서 너무 깊게 들어가지 말고 듣기 좋고 부르기 좋은 이름이라면 그 자체의 의미가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아 참, 그리고, 아들이건 딸이건 최소한도 하나는 더 낳으셔야지요. ‘국가를 위해서’라는 거창한 말들은 항상 너무 거창해서 나는 늘 그런 건 무시해 버리지만, 형제는 몇 멍이 함께 있어야 서로들 외롭지가 않답니다.